책소개
개혁주의학술원은 그 동안 개혁신학과 교회에 대한 가치있는 단행본을 꾸준히 출판해왔다. 금번에 본 학술원의 연구위원인 김진흥 교수의 저술을 통하여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이름인 버미글리(Vermigli)의 생애와 업적을 한국교회에 소개하게 된 것은 크나큰 의미가 있는 일이다. 그의 이름을 처음 듣는 사람도 그가 칼빈이 자신의 모든 강의를 넘겨주겠다고 할 정도로 신뢰한 사람이라고 한다면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인물이라고 인정할 것이다.
그는 종교개혁 이전에 이탈리아에서 태어나서 가톨릭 수도원장을 지낸 고위성직자였지만 성경연구와 마틴 부써와 츠빙글리와 같은 개혁자들의 글 그리고 교부들의 글을 읽고 개신교로 개종했다. 그 후 개혁신학적 입장을 견지한 그의 책은 많은 이탈리아 신학자들을 개신교로 개종하도록 만들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모델로 출판한 그의 『신학총론』 (Loci Communes)은 개혁신학의 표준교과서로 평가받는다. 버미글리의 마지막 생애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보냈는데 칼빈에게 언약사상에 대해서 영향을 미쳤던 불링거(Bullinger)와 함께 친숙한 관계를 유지하고 펠리카누스(Pellicanus)를 이어서 히브리어를 가르친 사실을 아는 것은 흥미롭다. 교회사가 필립 샤프(Philip Schaff)는 그의 『기독교회사』에서 버미글리에 대하여, “그는 가장 뛰어나고 유용한 이탈리아의 개종자 중의 한 사람이자 잔키(Zanchi)와 같이 정통 칼빈주의자였다”고 평가했다.
이 놀라운 신학자의 업적을 소개하는 책을 개혁주의학술원이 기획 출판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버미글리의 생애와 신학을 잘 정리해서 집필한 김진흥 교수의 노고를 높이 치하하며 개혁신학의 아름다운 유산을 한국교회와 공유함으로써 주님의 교회가 더욱 견고하게 자라가기를 바란다.
2018.5.18. 개혁주의학술원장 신득일
저자소개
김진흥 목사는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서양사학을 6년간 공부하였고,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하였다. 그후, 네덜란드 개혁교회(GKV) 캄펜신학교에서 종교개혁사를 전공하여 신학석사(Drs.) 및 신학박사(Th.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시드니신학대학 직영 한국신학부에서 교회사와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오직 하나님의 메시지만 선포하라」(팜트리), 「교리문답으로 배우는 장로교신앙」(생명의양식), 「마르틴 루터의 95개 논제와 하이델베르크 명제」(성약) 등이 있고, 다수의 신학 논문들이 있다.
목차
차 례
들어가는 말 1
버미글리는 누구인가? 2
오늘 우리가 버미글리를 알아야 할 필요는 무엇인가? 6
종교개혁의 핵심적 특징을 보여준 버미글리 8
제1부
I. 피터 마터 버미글리의 생애 11
1. 이탈리아 시절 (1499-1542) 12
1.1. 출생과 교육 (1499-1525) 13
1.2. 버미글리의 이탈리아 사역 20
1.3. 종교재판소의 등장과 망명 (1542) 31
2. 제1차 스트라스부르 시절 (1542-1547) 40
2.1. 취리히와 바젤 경유 40
2.2. 스트라스부르의 형편 42
2.3. 스트라스부르 정착과 사역의 시작 44
2.4. 변화된 상황과 영국에서의 초청 56
3. 옥스퍼드 시절 (1547-1553) 59
3.1. 에드워드 6세 치하의 영국 종교개혁의 배경 62
3.2. 옥스퍼드에서의 버미글리의 사역 65
3.3. 영국교회의 개혁 작업 참여 76
3.4. 메리 치하에서 다시 스트라스부르로 83
4. 제2차 스트라스부르 시절 (1553-1556) 86
4.1. 스트라스부르의 변화된 교회정치적 지형 87
4.2. 신학교 강의 89
4.3. 루터파와의 갈등과 사임 94
5. 취리히 시절 (1556-1562) 100
5.1. 강의와 주석 103
5.2. 구약성경 주석에 나타난 신학적 주제들 107
5.3. 예정론을 둘러싼 갈등 122
5.4. 프와시 논쟁 (1561) 124
5.5. 취리히의 신학자 버미글리 129
제2부
II. 피터 마터 버미글리의 신학 사상 135
1. 서론 138
1.1. 버미글리의 지적 배경 138
1.2. 버미글리의 ‘신학총론’ 155
2. 삼위 일체 하나님에 대한 고백 166
2.1. 버미글리 신론의 특징 166
2.2. 하나님의 속성 169
2.3. 삼위일체 171
2.4. 버미글리의 『사도신경 해설』에 나타난 신론의 윤리적 정향 176
2.5. 칼빈과의 비교: 버미글리의 삼위일체론 논의의 특징 179
3. 버미글리의 칭의론 184
3.1. 인간의 자유의지와 하나님의 은혜 185
3.2. 버미글리의 로마서 주석 190
3.3. 버미글리의 ‘칭의론에 관한 신학논제’ 193
3.4. 버미글리 칭의론의 주요한 특징들 210
3.5. 버미글리의 칭의론의 의의와 영향 218
4. 예정론 230
4.1. 예정론 신학논제의 구성 233
4.2. 예정의 본질과 정의 239
4.3. 예정의 원인 245
4.4. 예정의 결과들 251
4.5. 예정의 필연성 255
4.6. 버미글리 예정론 평가 262
5. 성찬론 265
5.1. 성례의 본질 및 성찬의 정의 265
5.2. ‘성찬논고’ 281
5.3. ‘대화’ 301
5.4. 버미글리의 개혁파 성찬론에 대한 평가와 의의 327
나가는 말 335
버미글리 연표 340
참고문헌 344